본문 바로가기
Book Review

"당신의 매력을 브랜딩하라" 송은영 압도적 성공을 불러오는 한 끗의 차이 보아스출판사

by 내인생의선장 2023. 2. 17.
반응형

개인이 하나의 브랜드가 되는 시대에 우리는 우리의 매력을 알고 있을까요? 알고 있다고 해도 그 매력을 나만의 브랜드로 잘 만들고 계신가요? 우리도 몰랐던 우리의 매력을 브랜딩하는 방법에 대한 솔루션을 담은 도서가 출간되었습니다. '압도적 성공을 불러오는 한 끗의 차이'라는 부제가 달려있는 송은영님의 책 "당신의 매력을 브랜딩하라"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시죠!

 
당신의 매력을 브랜딩하라
이 책은 이미지 브랜딩에 관한 이론, 성공인에게 배우는 이미지 메이킹, 자신의 이미지를 진단해보는 진단표, 실무에 적용하는 커뮤니케이션과 소통법 등 이미지 브랜딩에 관한 모든 것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은 매력적인 이미지 메이킹을 통해 자신의 일과 인간관계에서 성공을 일구도록 실질적이고 친절한 가이드가 되어줄 것입니다.
저자
송은영
출판
보아스
출판일
2023.02.06

[저자 소개 : 송은영]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이미지경영학과 겸임교수이자 대선후보 및 정치인, 기업CEO이미지 컨설턴트이자 한국이미지메이킹센터 원장이고, 한국이미지경영학회 명예회장, 한국퍼스널브랜딩협회 부회장, 한국서비스경영학회 이사 및 이화여대 컨설턴트 자격증 과정 전임강사입니다.

20여년의 시간동안 수많은 기업과 기관에서 강의와 컨설틴을 진행했으며,  아침마당, 무엇이든 물에보세요 등 다양한 TV프로그램에도 참여한 우리니라 이미지메이킹 전문가라 할 수 있습니다. 저서로는 "인상이 바뀌면 인생이 바뀐다"가 있습니다.

 

"당신의 매력을 브랜딩하라" 송은영 압도적 성공을 불러오는 한 끗의 차이 보아스출판사

[책 속 공감가는 내용 공유]

자기 이미지는 관점에 따라 자기가 보는 주관적인 이미지와 남들이 보는 객관적인 이미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미지 메이킹을 통해 자신을 바꾸고 싶다면 자신의 객관적인 이미지를 인정하고 수용할 수 있어야 변화할 수 있습니다. (20페이지)

외모보다 내면의 실속이 중요하지만, 외적인 이미지를 잘 가꾸는 것은 곧 몸값을 올리는 길입니다. (70페이지)

우리는 누구나 자신만의 매력과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을 차별화해 브랜딩하고 마케팅할 때 장점에 집중하고 장점을 극대화해야 합니다. 자신만의 매력을 찾아 그것을 브랜딩하고 탁월함으로 무장하는 것이 1등으로 가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92페이지)

대인관계가 좋은 사람들은 자기 표현력도 좋은 편이며, 특히 성공하는 리더일수록 자기 표현력과 대인기술이 뛰어난 경우가 많습니다. 카네기는 "성공의 85%는 대인관계 능력이 결정한다."고 지적했습니다. (151페이지)

 

[결론 및 총평]

이 책에는 이미지브랜딩에 대한 이론과 사례, 자신을 진단해보는 진단표,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스킬과 노하우 등 이미지메이킹과 관련된 거의 모든 부분이 담겨져 있어 책을 읽는 것을 넘어 이미지컨설팅을 받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자가진단할 수 있는 진단지가 포함되어 있는 점입니다. 특히 초반부에는 인상의 3요소인 인상, 언상, 체상에 대한 자가진단표가 수록되어 있어 책을 본격적으로 읽기 전에 자가진단을 먼저 하고 나를 돌아본 상태에서 책을 읽을 수 있어 더 좋았습니다. 챕터 중간중간에도 '첫 인상 자가진단', '커뮤니케이션 능력 자가진단', '꼰대 자가진단' 등의 진단표가 있으니 한번씩 해보시면 더 재밌게 책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굳이 아쉬운점을 꼽자면 제목에서의 느낌은 "퍼스널 브랜딩"에 대한 느낌이 강해서 요즘 SNS에서 유행하는 SNS를 활용한 퍼스널브랜딩에 대한 부분이 나올 것 같은 느낌이지만(저만 그런가요???) 그런 부분은 사실상 없다고 봐야 합니다. 

그래도 이미지메이킹 뿐만아니라 직장생활 노하우와 인간관계 등에 대한 방법론도 나와있고, 마지막부분에서는 직장인들이 조직생활과 관련해 궁금해하는 Q&A까지 수록되어 있어 직장에서의 이미지메이킹과 소통과 협업 등의 직장생활 노하우가 필요한 사회초년생 분들이 보면 많은 도움이 될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